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진단검사와 간호29

소변검사 색, 냄새, 소변량으로 건강상태 체크하기 소변검사 적응증 소변검사는 소변의 색, 냄새, 혼탁도, 양 등의 물리적인 모습을 검사하고 소변에서 배출되는 여러 노폐물을 검출하는 검사입니다. 소변검사는 비뇨기계 와 내분비계 질환뿐만 아니라 대사성 질환, 전해질 이상 등 각종 질환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검사방법입니다. 소변의 색 건강한 사람의 소변색깔은 밝은 노란색이거나 농축 정도에 따라 진하거나 연한 정도의 노란색을 보입니다.혼탁하지 않고 맑은 소변인데요, 소변의 색은 농축과 탈수 상태를 간접적으로 반영합니다. 정상인도 수분 섭취가 많으면 밝은 색의 소변을 배설합니다. 소변색은 섭취한 음식, 약물, 각종 대사산물에 의해 변화할 수 있습니다. 소변색 원인 매우 연한 노랑색 수액의 과잉주입, 당뇨병, 요붕증, 신증후군, 알코올, 이뇨제, 불안 .. 2020. 3. 28.
심장초음파검사 목적과 부작용 안녕하세요. ^^ 많은 분들이 심장초음파검사를 들어 본 적은 있지만 그 내용을 정확히 모르고 계신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이들었습니다.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심장초음파검사에 대해 정리를 해봤습니다. 천천히 읽어보시고 이해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심장초음파 검사란? 심장초음파검사는 간단히 말해 심맥관계 질환 진단을 보조하기 시행되고, 위 심장 내부 구조물의 크기, 모양, 위치와 움직임 등을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비침습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많은 심장질환에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심장초음파검사는 고위험 대상자에게 있어서 심도자법, 혈관조영술 같은 침습적인 검사를 시행하는 것보다는 심장초음파검사와 다른 비침습적검사를 함께 병행하여 심장질환을 진단하고 있습니다. 심장초음파검사로 확인할 수 .. 2020. 3. 28.
PET CT 검사 언제 하는 걸까? 쉽게 이해하기 혹시 PET CT라고 들어 보신 적 있으세요? 양전자방출단층촬영 이라고 불리는데 이름이 너무 어렵죠. 하지만, 오늘 포스팅을 읽으시면 무엇인지 정확하게 개념이 잡히실 거에요. 쉽게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PET CT란?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을 의미하는 PET CT는 Positron Emission Tomography의 약자 입니다. 설명할 때는 PET를 사용하겠습니다. ^^ PET의 검사방법은 먼저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선 의약품을 대상자에게 정맥주사로 투여하거나 흡입을 통해 투여합니다.그럼 대상자의 몸에 들어간 의약품이 양전자를 방출하겠죠? 이 방출되는 양전자를 영상화 하여 촬영하는 것을 PET 라고 합니다. 좀 더 자세히 들어가면,양전자로부터 방출되는 감마선의 분포를 촬영하는 것이에요. 이것은 방사선.. 2020. 3. 28.
나이에 따른 올바른 체온측정방법 알려드릴게요. 오늘은 나이에 따른 체온측정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체온측정의 방법은 대상자의 나이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셨나요? 이것을 생애주기에 따른 체온측정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 생애주기는 크게 신생아, 아동, 노인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신생아 신생아의 체온은 매우 불안정합니다. 그러므로 신생아는 건조하고 따뜻한 환경에 있도록 하여 저체온증을 예방하여야 합니다. 신생사의 겨드랑이에 체온측정을 할 경우엔 신생아의 팔을 가슴쪽에 두고 잡고 있을 필요가 있습니다. 단, 열이 나고 있는 신생아의 경우에는 겨드랑이 체온은 다른 체온측정 부위보다 정확하지 않습니다. 고막체온측정방법은 다른 측정방법 보다 신속하고 편리합니다. 먼저 신생아를 눕힌 다음 머리를 고정시킵니다. 귓바퀴를.. 2020. 3. 28.
반드시 알아야 할 복강경 검사 주의사항 복강경 검사(laparoscopy)란? 복강경 검사는 먼저 배꼽 주위를 1~2cm 정도 절개를 하고 난 뒤에 단단한 복강경을 체강 안으로 넣어서, 복강경을 이용하여 복부와 골반을 직접 육안으로 보는 검사를 말합니다. 이 검사는 복부와 골반 장기의 이상을 진단하면서 치료하는 방법으로, 이전의 개복술(laparotomy)을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복강경은 간질환, 담낭, 비장질환, 악성종양의 복강 내 전이, 복부외상, 부인과질환 등의 확진, 병태 파악, 위장관의 검사, 부인과 검사, 자궁 검사및 절제술, 담낭 절제술 또는 비장 절세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와 함께 진행될 수 있습니다. 복강경 검사의 정상소견 ▷ 위장계 복강경 검사인 경우에는 간, 비장, 췌장, 담낭 등 복부에 있는 장기들의 형태가 정상이어야 합니.. 2020. 3. 28.
전립선초음파 검사의 개념 간단정리 전립선 초음파 검사(prostate ultrasonography)란? 전립선 또는 경직장 초음파 검사(prostate ultrasonography)는 전립선 악성종양의 진단을 보조하는 검사로, 손으로 하는 직장검사와 함께 시행되는데 전립선, 정낭과 전립선 주위의 구조를 검사하게 됩니다. 50세 이상의 남성은 전립선이 비대해지고 전립선암의 발생 빈도가 높기 때문에 조기에 종양을 발견하고, 용적과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자주 시행됩니다. 전립선염, 전립선 비대, 촉지되는 결절 같은 전립선 이상, 전립선 생검 부위 안내, 방사선 화학 요법과 화학 요법의 치료 효과를 관찰, 배뇨 양상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전립선 초음파 검사 주의사항 검사 중 항문에 탐촉자가 들어갈 때 불편함이나 통증이 발생.. 2020.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