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이해하기 쉬운 의학지식

체순환 폐순환 심장구조와 기능과 함께 쉽게 알아보자!

by 공들임 2020. 8. 4.

체순환 폐순환체순환과 폐순환에 대해 알아봅시다!



체순환 폐순환을 이해하기 앞서,

 혈액순환에는 체순환과 폐순환이 있습니다. 체순환은 말 그대로 전신을 돌며 온몸에 혈액을 공급 하는 순환을 의미하고 폐순환은 폐를 거쳐 혈액에 산소를 공급 하는 순환을 말합니다. 이러한 체순환 폐순환의 혈액순환 과정을 거쳐 혈액이 온몸을 돌며 장기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것입니다.

 체순환 폐순환의 과정을 알기 위해서는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간단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먼저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간단히 설명 해 드리겠습니다.


체순환 폐순환체순환폐순환체순환 폐순환을 알기 전에 심장의 구조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이란?

자신의 주먹보다 약간 큰 크기의 근육성 장기로 가슴 속에 위치하며 혈액순환을 관장하는 기관입니다. 순환계의 중추 기관인 심장은 혈액을 온몸에 에 순환 시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몸에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거두어들여 생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상인의 심장 박동 수(heart rate)는 1분에 약 70~75회이며 1회 박출량(stroke volume)은 약 70mL입니다. 따라서 성인으로 볼 때 1분 동안의 심박출량(cardiac  output)은 4.8~5L입니다.

심장의 구조

체순환 폐순환심장의 구조

심장의 내부 구조는 2 심방, 2 심실, 대동맥, 대정맥, 폐동맥, 폐정맥, 판막, 심막으로 구성됩니다. 

1) 심방(atrium) 심실(ventricle)

: 심장은 2 심방과 2 심실로 나눠지는데 심방과 심실의 기능과 종류는 다음의 표와 같습니다.

체순환 폐순환 심방과 심실의 기능과 종류 표

2) 판막(valve)

판막은 심실과 심실 사이, 심실과 동맥 사이에 존재합니다. 판막의 역할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고, 혈액이 한방향(심방-심실-동맥)으로 흐르게 합니다.
-삼첨판(tricuspid valve) :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있는 판막을 말합니다.
-이첨판(biscupid valve) :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있는 판막을 말합니다.
(방실판막 : 삼첨판과 이첨판을 동시에 부르는 용어입니다.)

3)심방중격(interatrial septum)과 심실중격(interventricular septum)

심실중격은 좌우 심실을 방(chamber)으로 나누고, 심방중격은 좌우 심방을 방(chamber)으로 나눕니다.

체순환 폐순환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이해가 되었다면 체순환 폐순환의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체순환 폐순환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체순환 폐순환체순환 폐순환의 과정


체순환 폐순환한 눈에 보는 체순환 폐순환 과정


1. 인체 내 온몸을 돌고 온 피대정맥(정맥혈)으로 들어간다.
2. 대정맥으로 들어온 피는 우심방을 통해 심장 내로 들어간다.
3. 우심방에서 삼첨판을 통해 우심실로 이동한다.
4. 우심실은 폐동맥을 통해 폐로 정맥혈을 이동시킨다.
5. 는 들어온 혈액에 산소를 공급한다.
6. 산소를 공급받은 혈액은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간다.
7.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이첨판을 이용해 혈액은 좌심실로 이동한다.
8. 좌심실은 대동맥을 통하여 우리 몸 전체에 피를 공급한다.



*정맥혈:산소함량이 적고 이산화탄소함량이 많은 어두운 색의 피
*동맥혈:허파에서 산소를 공급 받아 산소가 풍부한 선홍색 피





체순환 폐순환에 대해 이해가 가셨나요?
헷갈릴 수 있는 체순환 폐순환에 대해 무작정 외우려하기 보다는 혈액 순환의 원리를 연상하면 쉽게 이해가 되어 기억에 남게 되실 겁니다.
이상 체순환 폐순환에 대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