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56

나이에 따른 올바른 체온측정방법 알려드릴게요. 오늘은 나이에 따른 체온측정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체온측정의 방법은 대상자의 나이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셨나요? 이것을 생애주기에 따른 체온측정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 생애주기는 크게 신생아, 아동, 노인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신생아 신생아의 체온은 매우 불안정합니다. 그러므로 신생아는 건조하고 따뜻한 환경에 있도록 하여 저체온증을 예방하여야 합니다. 신생사의 겨드랑이에 체온측정을 할 경우엔 신생아의 팔을 가슴쪽에 두고 잡고 있을 필요가 있습니다. 단, 열이 나고 있는 신생아의 경우에는 겨드랑이 체온은 다른 체온측정 부위보다 정확하지 않습니다. 고막체온측정방법은 다른 측정방법 보다 신속하고 편리합니다. 먼저 신생아를 눕힌 다음 머리를 고정시킵니다. 귓바퀴를.. 2020. 3. 28.
반드시 알아야 할 복강경 검사 주의사항 복강경 검사(laparoscopy)란? 복강경 검사는 먼저 배꼽 주위를 1~2cm 정도 절개를 하고 난 뒤에 단단한 복강경을 체강 안으로 넣어서, 복강경을 이용하여 복부와 골반을 직접 육안으로 보는 검사를 말합니다. 이 검사는 복부와 골반 장기의 이상을 진단하면서 치료하는 방법으로, 이전의 개복술(laparotomy)을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복강경은 간질환, 담낭, 비장질환, 악성종양의 복강 내 전이, 복부외상, 부인과질환 등의 확진, 병태 파악, 위장관의 검사, 부인과 검사, 자궁 검사및 절제술, 담낭 절제술 또는 비장 절세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와 함께 진행될 수 있습니다. 복강경 검사의 정상소견 ▷ 위장계 복강경 검사인 경우에는 간, 비장, 췌장, 담낭 등 복부에 있는 장기들의 형태가 정상이어야 합니.. 2020. 3. 28.
전립선초음파 검사의 개념 간단정리 전립선 초음파 검사(prostate ultrasonography)란? 전립선 또는 경직장 초음파 검사(prostate ultrasonography)는 전립선 악성종양의 진단을 보조하는 검사로, 손으로 하는 직장검사와 함께 시행되는데 전립선, 정낭과 전립선 주위의 구조를 검사하게 됩니다. 50세 이상의 남성은 전립선이 비대해지고 전립선암의 발생 빈도가 높기 때문에 조기에 종양을 발견하고, 용적과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자주 시행됩니다. 전립선염, 전립선 비대, 촉지되는 결절 같은 전립선 이상, 전립선 생검 부위 안내, 방사선 화학 요법과 화학 요법의 치료 효과를 관찰, 배뇨 양상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전립선 초음파 검사 주의사항 검사 중 항문에 탐촉자가 들어갈 때 불편함이나 통증이 발생.. 2020. 3. 27.
이해하기 쉬운 종양표지자 검사 정상수치와 개념정리 종양 표지자(tumor marker)는 암세포에 대한 신체의 반응으로 생기는 물질을 말합니다. 이러한 종양 표지자는 체액 검사나 조직검사물로 탐지할 수 있습니다. 종양표지자검사 결과는 종양의 예측, 탁지, 확인 그리고 경과진행과 예후 관찰 및 치료 프로토콜의 평가에 사용됩니다.가장 바람직한 표지자는 침습적인 절차를 거쳐 조직 표본을 얻는 것이 아니고, 체액분석(혈청, 소변, 삼출액, 뇌척수액)을 통해 악성종양을 탐지하는 것입니다. 종양표지자 검사의 목적 종양표지자 검사는 종양의 위치, 악성의 확인, 그리고 악성의 경과와 예후를 감시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종양표지자 암종류 기타 사용 목적/방법 AFP (알파-태아단백) 간, 난소, 고환의 생식세포 암 임신 시 상승 진단, 치료 모니터, 재발 결정 CA 15.. 2020. 3. 27.
분변잠혈검사 대변채취 방법과 과정 분변잠혈검사(Fecal occult blood test) 는 치질로 인한 출혈 또는 대장이나 직장, 항문 등에서의 출혈에 원인되는 대장암 조기 발견을 위한 선별검사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50대 이상인 남성과 여성은 1년에 한번 씩 대변검사(분변잠혈검사)를 하도록 권장합니다. 또 피로감과 함게 낮은 혈색소 수치, 낮은 헤마토크릿 수치 및 또는 검은색 변을 보는 등 빈혈의 증상 및 증후를 갖고 있다거나궤양출혈과 같은 혈액 손실로 인한 빈혈의 원인을 찾기 위해서도 대변 잠혈 검사를 실시합니다. 대변잠혈검사 시 변에서 혈액이 나오면 양성, 혈액이 나오지 않으면 음성으로 판정됩니다. 잠혈 검사를 위한 검사물을 직장검진 또는 배변을 통해 채취됩니다. 분변잠혈검사를 받는대상자는 검사 전 3일 동안 육류 섭취를 제한.. 2020. 3. 27.
관절경 검사 후 간호 방법 관절경 검사(arthroscopy)는 진단 과 치료의 목적에 따라 관절경을 이용해 관절의 내부 구조를 직접 육안으로 보는 검사이다. 검사부위는 관절이 있는 무릎, 어깨, 팔꿈치, 발목, 손목, 엉덩이 등이 있다. 진단을 위해 검사하기도 하고, 의사 소견에 따라 조직검사, 연골의 제거, 인대복구, 활막절제술 등 치료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관절경 검사는 관절절개술을 시행했을 때보다 무릎을 30% 더 잘 볼 수 잇으므로 평면 X선 검사나 MRI상 문제를 찾아내지 못할 때 시행한다. 관절경 검사 방법 검사할 부위에 마취를 하는데 상체일 경우엔 전신마취 하체일 경우엔 척추마취를 진행한다. 고관절 관절경 검사일 경우에는 전신마취를 한다. 마취 후에 관절 주위의 피부를 절개한 후 관절경을 삽입해 검사를 진행한다. 검.. 2020.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