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이해하기 쉬운 의학지식

전부하 후부하 개념 간단 정리

by 공들임 2020. 7. 7.

전부하 후부하 표지전부하와 후부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박출량(Cardiac Output)이란 1분 동안 심실에서 짜낼 수 있는 혈액의 양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 안정 시 1회 박출량(stroke volum)은 70ml 입니다. 
심박출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크게 심박수, 심근수축력, 전부하(용적부하), 후부하(압력부하)의 4가지 인자의 상호작용에 있습니다.
오늘은 이 4가지 인자 중 전부하와 후부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전부하(preload)

전부하는 용적부하라고도 하며, 심실의 용적과 압력이 최고로 증대된 확장기말 용적을 말합니다. 
전부하가 커지면 심부전은 악화됩니다. 
전부하를 증가시키는 원인에는 IV용액의 과잉주입, 나트륨과 수분의 정체, 감상선 기능항진증, 비만, 임신 등 순환혈액량의 증가는 용적 과부하의 원인이 됩니다.
또한 대동맥판 폐쇄부전증과 승모판 폐쇄부전증도 전부하를 증가시켜 심부전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확장기말 용적이 커지면 그만큼 1회 박동량이 증가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심부전일 경우 확장기말 용적이 늘어나도 1회 박동량이 증가되지 않게 됩니다.
그러므로 운동과 같은 산소요구량이 증가되는 상황인 경우 호흡곤란이 오게 됩니다. 전
전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이뇨제나 혈관확장제를 투여해 혈액순환량을 감소시켜 전부하를 감소시킵니다.

전부하 후부하전부하와 후부하는 심박출량에 영향을 미칩니다.


2. 후부하(afterload)

후부하는 압력부하라고도 하며 심실이 수축하면서 받는 저항을 의미합니다. 
이는 심실이 펌프기능을 할 때 필요한 심실의 압력저항이며 대동맥압과 말초혈관의 저항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압력부하가 증가 하게되면 심실의 수축력은 약해지고 결국 박동량과 박출량은 감소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과도한 후부하로 심부전의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에는 고혈압, 대동맥판막협착증, 폐동맥판막협착증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전부하 후부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