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진단검사와 간호

요추천자 뇌척수액 검사란? 정상수치부터 주의사항까지

by 공들임 2020. 3. 31.

요추천자는 뇌척수액을 뽑기 위해 실시해요.오늘 포스팅은 뇌척수액 검사, 요추천자에 대해 정리했어요.

안녕하세요 :)
뇌척수액 검사와 요추천자 들어 보셨나요?
요추천자는 뇌척수액을 뽑기 위해 시행 되는 시술인데요,
개념 천천히 설명해드릴게요.




뇌척수액이란?

뇌척수액은 뇌와 척수에 있는 무색의 투명한 액체입니다.
뇌척수액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중추신경계의 이온 농도를 유지하며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상적으로 뇌척수액은 맑고 무색이며 물과 같으나 백혈구가 많이 들어 있을 경우 혼탁해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노랗게 변색된 경우, 대개 이전에 출혈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나 뇌척수액 중 단백질이 많을 때도 노랗게 변색될 수 있습니다.



뇌척수액 검사 과정

뇌척수액검사는 대개 뇌수막염 진단을 위해 시행하고 이 외에도 신경계통 질환을 진단할 때 시행될 수 있습니다.
뇌척수액 검사를 위해서 뇌척수액을 뽑아야 하는데요, 이때 요추천자를 실시합니다. 


요추천자 과정

① 요추천자를 받는 환자는 의사를 등지고 무릎이 가슴에 닿도록구부린 자세를 유지해야합니다.
② 천자부위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국소마취를 합니다.
③ 요추 4번 5번 사이에 바늘을 삽입합니다.
④ 척수액을 뽑습니다.
⑤ 바늘을 제거하고 소독합니다.
⑥ 대상자는 검사 후 6~8시간 동안 침대에 반듯하게 누워 있어야 합니다.




뇌척수액 검사 결과

일반 뇌척수액 검사에는 세포 수 및 감별, 단백질을 포함하여 전해질, 유산, 요소, 글루타민과 효소를 측정합니다.



세포 수 및 감별
정상 뇌척수액에는 세포가 없습니다.


단백질
단백질의 입자는 혈액-뇌 장벽을 통과할 수 없는 큰 분자이기 때문에 뇌척수액에는 단백질이 거의 없습니다.
알부민은 작은 분자이기 대문에 뇌척수액으로 쉽게 통과되므로 뇌척수액에서의 알부민 대 글로불린 비는 혈청 내에서보다 더 높게 나오는 것이 정상입니다.
만약 뇌척수액의 단백질 농도가 상승되는 경우는 염증이나 감염의 증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당뇨와 심맥관 내 질환이 있는 대상자도 뇌척수액의 단백질 수치가 상승됩니다.

뇌척수액에 당 농도는 미생물의 존재로 확인될 수 있습니다. 미생물은 당을 소모하기 때문입니다.
뇌척수액에 세균, 곰팡이, 원충, 결핵균 등이 있으면 당 수준이 저하됩니다.

기타물질
뇌척수액으로 분석될 수 있는 기타 물질로는 전해질, 유산, 요소, 글루타민, 효소 등이 있습니다.
결핵이나 세균성 수막염일 경우 뇌척수액에서의 염소 농도가 낮아집니다.





뇌척수액 검사 정상수치


검사
정상
비정상
뇌척수압
60~180mmH20
(5-13mmHg)
상승(20mmHg이상 IICP)시 뇌 내 출혈, 종양, 부종
비중
1.007

성상
무색, 투명
혼탁 : 감염
단백질
15~45mg/dl
상승 : 척수 및 뇌종양, 바이러스 감염
50~80mg/10dl
증가 : 고혈당증
감소 : 뇌종양, 감염, 백혈병
적혈구
미검출
검출 : 뇌출혈

뇌막염시 뇌척수액 수치


감염
세균 감염
바이러스 감염
외양
혼탁하고 흐림
맑거나 혼탁
세포
백혈구 : 특히 다형백혈구 증가
백혈구 : 특히 단핵구 증가
단백질
증가(100-500mg/dl)
정상(15-45mg/dl) or 약간 증가
포도당
감소(40mg/dl) or 혈당의 40%
정상(60-80mg/dl, 혈당의 60-80%)
smear & cluture
G (+) bacteria
no bacteria
뇌척수압
180mmHg 이상 증가
다양



뇌척수액 검사 후 간호

검사 후 적절한 수분 섭취는 뇌척수액의 양을 정상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므로 수분섭취를 권장합니다.
검사 후 두통을 예방하기 위해 6~8시간 동안 배게를 배지 않고 반듯이 누워있도록 합니다.
필요시 머리에 얼음주머니를 대주거나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


포스팅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